이런스타일의 스트링을 찍고 싶어서 어떤 보이싱으로 이루어졋는지 알아보기위해 카피하던중에
제가 공부한바로는 오픈보이싱과 스프레드보이싱이 백그라운드사운드에 효과적이라고해서 이것인가 대입해보았더니 그것도 아니더라구요..!
오픈보이싱과 스프레드보이싱 둘다 관련이 없어보였습니다
이런스트링을 짤려면 어떤걸 공부해야하나요?
그리고마지막으로 번외의 질문이지만...
1.왼쪽 파란색 표시처럼 제가생각하기엔 패싱디미니시같은데 저 물음표의 음정은 무슨 코드의 몇음정인가요?
2.오른쪽 파란색 표시처럼 보컬멜로디와 스트링이 블루노트를 연주하고있습니다 .
스트링이 그냥 블루노트를 사용한 것이라고 생각해야하는건가요 아니라면 코드가 다른코드라도 봐야하는건가요? GM7sus4이 있나요..?
1.두번째 코드는 EM7이 아니고 E7입니다. EM7이 나오려면 D가 아니라 D#이 나와야 합니다. 세번째 코드를 복잡하게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E7/G#과 같습니다. 별도의 코드로 보지 않아도 됩니다. 두번째 코드와 세번째 코드 그냥 E7하나로 적어도 딱히 틀린 것은 아닙니다.
2.Ckey의 블루노트는 bIII, bV, bVII인 Eb, Gb, Bb입니다. Ab은 블루노트가 아닙니다. Ab은 G7의 텐션 b9입니다. V7sus4코드에 Tb9보다는 T9이 훨씬 많이 나오긴 합니다만 Tb9도 가끔 나오긴 합니다. 듣고 좋으면 장땡입니다.
본문의 곡을 상황에 따라 C key가 아닌 F Key로 볼 수도 있긴한데 Bb이 적극적으로 쓰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C key나 Am key로 보는 것이 더 쉽습니다.
본문의 스트링 편곡은 탑노트만 잘 들리는 스타일이고 대선율이 강하게 나오지도 않습니다. 아티큘레이션이 적극적으로 사용된 것도 아니라서 위 수준의 편곡이라면 뭘 따로 배우지 않아도 가능합니다.
접근이 어려우시다면 탑노트랑 베이스 (1st Vn, Vc)부터 만들어보시고 중간에 비어 있는 보이스(2nd Vn, Va)는 코드톤으로 채우되 주로 보이스리딩으로 하면 됩니다.
(대중음악에서는 일렉베이스가 있어서 콘트라 베이스가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1st Vn-퍼스트 바이올린,
2nd Vn-세컨드 바이올린,
Va-비올라,
Vc-첼로)